종이는 문자와 인쇄술의 발명과 더불어 인류의 정신문화를 발전시킨 3대 발명품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는 컴퓨터와 태블릿PC 등의 개발로 인해 그 역할이 축소되고 있지만, 종이는 아직도 인간의 생각을 담아내고 기록하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 종이의 발명가로 널리 알려진 사람은 중국 후한대 출신인 채륜입니다.
종이는 글과 그림을 기록하기 위한 매체입니다.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는 다양한 매체가 사용되었습니다. 수메르인들은 점토판 위에 문자를 새겼고, 이집트인들은 파피루스를 사용했으며, 인도인들은 종려나무 잎에 글씨를 썼고, 유럽인들은 양가죽에 문자를 기록하다가 기원전 190년 페르가몬의 왕 에우메네스 2세에 의해 양피지가 발명되었습니다.
종이를 만들기 이전, 중국에서는 갑골, 청동기, 목간, 죽간, 실크 등에 글자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매체는 무겁고 부피가 커서 사용에 불편함이 많았습니다. 나무껍질, 마, 해진 천, 그물 등을 사용한 종이 제조법은 중국 감숙성 천수시 방마탄에서 발견된 방마탄지(放馬灘紙)로 기원전 180~124년대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채륜(蔡倫), 후한의 고관, 이 시기에 종이 제조법을 개량하여 '채후지'라는 종이를 만들었습니다. 채후지 종이는 말리고 물에 불린 후 말려서 사용하며, 종이를 만드는 제지술(製紙(術)이 크게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채륜은 종이의 발명가로 인식되지만, 그는 종이의 발명가보다는 문자를 기록할 수 있는 종이의 개발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종이는 채륜이 개발한 종이가 나오기 200년 전으로 추정되는 시기의 유적에서 종종 발견되었으나, 이러한 종이들은 풀솜이나 마를 폈던 것으로, 주로 물건을 포장하는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문자를 기록하기 위한 종이는 아니었습니다.
채륜의 종이 개발 이전, 문자는 주로 대나무를 쪼개서 만든 것이나 나무 판자, 고가의 비단 등에 기록되었습니다. 이는 보관, 이동 및 가격 측면에서 모두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런 기록물을 소유할 수 있는 것은 주로 상류층에 한정되었으며, 이로 인해 학문의 발전에 제약이 생겼습니다. 기원전 105년, 채륜은 나무 껍질, 삼베 조각, 헌 헝겊, 오래된 그물 등을 사용하여 종이를 만들었으며, 이를 선물로 제출했습니다. 채륜의 종이 제조법은 비단 제품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단 실이나 풀솜을 활용하여 부직포를 만드는 방법을 응용한 것이었습니다. 채륜은 재료를 작게 자르고 물에 녹인 다음 이를 대나무로 짠 책 위에 펴서 말리는 과정을 통해 종이를 완성했습니다. 이로써 저렴한 재료로 가벼우면서도 튼튼한 종이가 탄생하였으며, 이는 인류의 학문 발전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현재의 한자 "지(紙)"는 당시에는 비단을 만들고 남은 재료로 만들어진 천을 가리키는 용어였기 때문에 채륜이 만든 종이는 "채후지(蔡侯紙)"로 높이 평가되었습니다.
채륜 이후에도 종이의 개량은 계속되어, 제자 좌백이 [좌백지]를 개발했습니다. 이러한 종이의 보급으로 후한 이후 중국에서는 학문이 크게 발전하였으며, 이 종이의 제지술은 3~4세기 경 고구려와 백제 신라에 최초로 전해졌습니다. 백제의 왕인과 고구려의 담징이 일본으로 이동하면서 제지술을 전파하였고, 종이는 바다를 건너 일본에까지 전달되어 중국과 동아시아가 종이문명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한편, 종이는 8세기 경 중국 당나라 시기를 거쳐 이슬람 지역을 통해 서양으로 전파되어, 서양의 학문과 문화 발전에 큰 기여를 하게 되었습니다. 문자를 기록할 수 있는 종이를 개발한 채륜은 중국에서 종이의 수호신으로 존경받으며, 중국 섬서성에는 채륜 박물관이 있어 오늘날에도 채후지가 복원 제조되고 있다고 합니다.
자원재활용의 중요성과 방법 : 철금속, 비철금속, 고무, 유리, 종이 등 (1) | 2023.10.01 |
---|---|
제인 구달, 침팬지 연구로 인류와 자연을 연결하다 (2) | 2023.09.30 |
시간의 기록, 윤년과 윤초 (0) | 2023.09.30 |
돌연변이가 발생하는 세포의 종류에 따른 돌연변이 분류 (1) | 2023.09.29 |
우주의 탄생과 진화: 빅뱅에서 현재까지 (0) | 2023.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