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다면체의 면, 꼭지점, 모서리 개수는 그냥 외워야합니다.
이해를 하면, 꼭 외우지 않아도 머리속에 입체의 모양을 떠올리며 계산해 낼 수도 있습니다.
그래도 정다면체는 아래 5가지 밖에 없으니 외워봅시다.
초등과정에서는 정다면체에 대한 다음 표를 암기하는데, 잘 보시면 규칙이 보이니, 외우기 쉬운 방법을 찾아봅니다.
면 개수는 이름에서부터 유추할 수 있습니다.
정사면체이니 4개.
정육면체이니 6개. 나머지는 같은 방식
모서리와 꼭지점의 개수는 "정육면체와 정팔면체", "정십이면체와 정이십면체"를 짝지어서 외우면 쉽습니다.
두 쌍의 모서리 개수는 각각 같고, 면의 개수와 꼭지점의 개수가 크로스로 들어갑니다.
[ 정다면체의 꼭지점, 모서리, 면의 갯수 ]
오일러 다면체 정리란, 임의의 한 다면체를 구성하는 점과 선, 면이 가지는 관계를 설명한 정리를 말합니다. 1752년에 스위스의 수학자인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발견하였습니다.
다음의 공식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v(vertex,점), e(edge, 모서리), f(face, 면)
정사면체의 경우
v = 4, e = 6, f = 4
v - e + f = 4 - 6 + 4 = 2
정십이면체의 경우
v = 20, e = 30, f = 12
v - e + f = 20 - 30 + 12 = 2
오일러 정다면체 정리를 이용해 계산해보겠습니다.
정이십면체이므로 f = 20
꼭지점의 개수는 정십이면체와 짝을 지어 외우면 정이십면체의 면개수랑 같으므로 v = 12
이 두가지는 잊어버리지 않겠죠?
v = 12, f = 20을 오일러공식에 넣고 계산해봅니다.
v - e + f = 12 - e + 20 = 2
32 - e = 2
e = 30
계산 결과로 모서리 개수는 20임을 알 수 있습니다.
오일러 정다면체 정리는 부풀렸을때 공모양이 되는 입체도형에는 모두 적용가능합니다.
육각기둥의 경우
v = 12, e = 18, f = 8 입니다.
v - e + f = 12 - 18 + 8 = 2
육각기둥의 경우에도 v - e + f = 2 입니다.
오각뿔의 경우
v = 6, e = 10, f = 6 입니다.
v - e + f = 6 - 10 + 6 = 2
오각뿔의 경우에도 v - e + f = 2 입니다.
정다면체 글은 전에 많이 써서 자세한 설명은 링크로 대체합니다. https://lucia.tistory.com/124
정다면체는 왜 5개만 있나요?
정다면체 알아보기 각 면이 모두 합동인 정다각형이고, 각 꼭지점에 모이는 면의 개수가 같은 입체도형을 정다면체라고 합니다. 정다면체는 정사면체, 정육면체, 정팔면체, 정십이면체, 정이십
lucia.tistory.com
정다면체 접어보며 이해하는 전개도 파일도 이전글 링크로 대체합니다. https://lucia.tistory.com/11
접으면서 배우는 정다면체 5가지 (전개도 PDF 첨부)
정다면체의 종류 5가지 각 면이 모두 합동인 정다각형이고, 각 꼭지점에 모이는 면의 개수가 같은 입체도형을 정다면체라고 합니다. 정다면체는 정사면체, 정육면체, 정팔면체, 정십이면체, 정
lucia.tistory.com
삼각형 내각의 합은 180도, 이걸 알면 나머지 도형은 술술~~ (0) | 2024.04.17 |
---|---|
모든 면이 합동인 각기둥이 있나요? (0) | 2024.04.16 |
꼭지점이 N개라고 주어질때 해결법 : 꼭지점이 19개인 입체도형은 무엇인가요? (0) | 2024.04.09 |
면이 N개라고 주어질때 해결법 : 면이 19개인 입체도형은 무엇인가요? (0) | 2024.04.09 |
각기둥의 옆면은 모두 합동인가요? (0) | 2024.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