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메테인(biomethane)은 유기 폐기물(음식물 쓰레기, 농업 부산물, 하수 슬러지 등)을 분해할 때 생성되는 바이오가스를 정제해 만든 재생 가능 에너지입니다. 바이오가스의 주성분은 메탄(CH₄)과 이산화탄소(CO₂)인데, 이 중 메탄을 추출하고 정제해 천연가스와 유사한 형태로 만든 것이 바이오 메테인입니다.
바이오 메테인은 화석연료의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으며, 천연가스와 동일한 가스망에 투입하거나 차량 연료, 발전소 연료, 또는 산업용 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고, 메탄을 에너지로 전환해 온실가스를 줄이는 효과가 있어 탄소 중립 실현에 기여합니다
.
이와 같은 장점을 바탕으로 바이오 메테인은 전 세계적으로 활용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사례를 통해 다양한 응용 방식을 살펴보겠습니다.
독일은 2020년 기준, 유럽을 포함해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약 9,600개의 바이오가스 플랜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는 유럽 전체 바이오가스 생산 총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독일이 바이오가스 생산에서 압도적인 1위 국가임을 보여줍니다. 특히 독일의 연간 바이오가스 생산량은 약 85억㎥로, 유럽 내 2위 생산국인 영국(30억㎥/년)보다 세 배 가까이 많습니다. 유럽연합(EU)은 2030년까지 바이오메탄을 통해 천연가스 수요의 10%를 대체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으며, 이 과정에서 독일의 바이오가스가 핵심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독일은 바이오가스를 주로 열병합발전(CHP) 방식으로 운영하여 전력 생산과 난방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습니다. 2022년 기준, 독일은 전력 수요(562TWh)의 약 10%에 해당하는 50TWh를 바이오매스를 통해 생산했으며, 발전 후 발생하는 잔여열을 지역 난방 네트워크에 투입하여 난방(169TWh)을 제공합니다. 이 과정에서 고형 바이오매스와 바이오가스를 활용하여 친환경적인 에너지 순환 구조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곰팡이, 보이지 않는 위협 : 예방이 우선, 제일 중요한 습도관리! (0) | 2024.11.26 |
---|---|
미국의 쓰레기 매립지가스(LFG) 에너지화의 사례와 효과 (0) | 2024.11.26 |
다 같은 스모그가 아니네, 런던형 스모그와 로스앤젤레스형 스모그 (0) | 2024.11.23 |
산과 염기의 다양한 정의 : 화학 이론의 진화 (1) | 2024.11.23 |
체내 산-염기 균형, 내가 먹는 음식은 산성? 염기성? (1) | 2024.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