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문, 얼굴, 홍채, 정맥, 음성 등의 생체인식은
내 몸의 고유한 특성을 이용하여 나를 인증하는 기술입니다.
내 몸이 비밀번호가 되는 것으로 생체인식은 보안성이 높고 편리합니다.
비밀번호를 잊어버릴 걱정이 없고,
다른 사람이 내 비밀번호를 알아낼 수도 없습니다.
생체인식은 스마트폰, 노트북, ATM 등 다양한 기기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앞으로는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생체인증은 보안성이 높고 편리하지만, 생체 정보가 유출될 경우에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도 필요합니다.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생체인증 방식을 살펴보고, 또, 아직까지 상용화되지 않았지만 보안성이 더 높은 기술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표적인 생체인증 방식은 다음과 같은 종류들이 있습니다.
지문인식
손가락의 지문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방식입니다. 지문은 사람마다 고유하며, 위조가 어렵기 때문에 보안성이 높습니다. 지문인식은 스마트폰, 노트북, ATM 등 다양한 기기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얼굴인식
얼굴의 특징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방식입니다. 얼굴인식은 지문인식보다 더 정확하고 빠르게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 노트북, 출입통제 시스템 등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정맥인식
손가락의 정맥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방식입니다. 정맥 패턴은 사람마다 고유하며, 위조가 어렵기 때문에 보안성이 높습니다.
홍채인식
눈의 홍채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방식입니다. 홍채는 사람마다 고유하며, 위조가 어렵기 때문에 보안성이 높습니다. 홍채인식은 스마트폰, 노트북, 출입통제 시스템 등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음성인식
음성의 특징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방식입니다. 이 프로세스에는 마이크를 사용하여 개인의 음성을 캡처하고 고급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분석하여 톤, 피치 및 리듬과 같은 고유한 음성 패턴과 기능을 추출하는 작업이 포함됩니다. 음성인식은 스마트폰, AI 스피커 등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서명인식
서명 인식은 서명의 독특한 특성을 사용하여 개인을 인식하는 생체 인식 기술입니다. 서명은 개인의 독특한 손쉬운 특성을 나타내며, 서명 인식은 이러한 특성을 분석하여 개인을 인식합니다. 서명 인식 기술은 보안적으로 안전하고, 사기 방지와 위조 방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 생체인식의 종류별 장단점 비교 ]
구분 | 장점 | 단점 |
지문인식 | 보안성이 뛰어나며 시스템 구축가격이 저렴 | 손상되거나 건조한 지문은 인식 미흡 |
얼굴 인식 | 인식이 빠르고 쉬우며 시스템 구축가격이 저렴 | 표정, 수염에 의한 변장 가능 |
정맥 인식 | 인식률이 높고 사용자 편이성 우수 | 지문에 비해 속도가 느리고 정확성 감소 |
홍채 인식 | 복제 불가능 | 개인별 거부감, 사용이 불편 |
음성 인식 | 원격지에서 사용 가능하고 저렴한 가격 | 신체적, 감정적 특성에 따른 변화에 다르게 반응 |
서명 인식 | 사용이 편하며 가격이 저렴 | 정확도가 떨어지고 타인의 도용 가능 |
아직 상용화 되지 않은 생체인식 신기술도 있습니다.
망막 인식은 높은 정확성과 안전성에도 불구하고, 높은 품질의 망막 이미지를 캡처하는 과정이 전문적인 장비가 필요하고 지문이나 얼굴 인식과 비교하여 처리속도가 느리고 비용이 많이 드는 생체인식 방법입니다. 이런 이유로 망막 인식은 정부나 군사 시설 등 고도의 보안과 정확성이 요구되는 특수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뇌파인식은 뇌파의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기술입니다. 뇌파인식은 운전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졸음운전이나 음주운전을 예방하는 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신기술 생체인식은 보안성이 높고, 사용이 편리하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아직은 기술적인 한계와 비용적인 문제로 인해 상용화되지 않았습니다.
SPF 50? PA++? 자외선 차단제 수치, 알고 쓰자~ (0) | 2024.04.08 |
---|---|
[과학탐구] 바이오 플라스틱은 뭘로 만들어지길래 미생물이 분해하는걸까? (0) | 2024.04.08 |
목재 폐기물에서 친환경소재로 변신한 리그닌, 가능성은 무궁무진 (0) | 2024.04.03 |
충치, 치아우식증, 왜 생기고 어떻게 관리해야할까? (1) | 2024.04.03 |
뇌심부자극술 대신, 자기장을 이용해 무선으로 파킨슨병을 치료한다. (1) | 2024.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