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영재학교마다 글로벌 리더 육성이라는 취지하에 다양한 국제교류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0학년도부터는 아쉽게도 온라인으로 운영하고 있는데 2022학년도에는 일부 영재학교에서 해외에 직접 가는 곳도 있습니다.
한국과학영재학교
한국과학영재학교는 교환학생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2년에는 드디어 온라인이 아닌 국제교류를 개시한다고 합니다. 다음은 2021학년도에 진행한 교환학생 프로그램 운영내역입니다.
한국과학영재학교는 교환학생 제도 외에도 11개국 21개 기관(2022년 1월 기준)과의 협약을 체결하고 학술교류 및 교직원/학생 인적 교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경기과학고등학교
싱가포르 영재학교(NJC)와 미국 풀턴 과학고등학교, 2곳과 교류하고 있습니다. COVID-19 상황으로 인하여, 2022년의 경우 직접 방문이 어려워 온라인으로 학생 교류 및 연구를 진행합니다.
대전과학고등학교
일본 고마쯔고등학교와 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 항공우주학교(Aero-Space Lyceum), 2곳과 교류하고 있습니다. 역시 COVID-19 상황으로 인하여 온라인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교육봉사활동은 코로나 이후에는 진행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대구과학고등학교
대구과학고등학교는 현장연구 정규 학점으로 국제교류를 편성하고 있습니다. 1학년에서는 국내 현장연구 2학점, 2학년에서는 국외 현장연구 2학점이 있습니다. 국내·외 현장연구는 휴가기간 중에 국내 및 해외대학 또는 연구소 등을 방문하여 연구 인턴십과정을 이수하는 방법으로 운영됩니다. 현장연구는 각 전공 분야별로 시행하며, 가능한 한 다양한 분야의 소규모 학습으로 운영하여 그 성과를 연구 보고서 형식으로 제출합니다.
다음은 대구과학고등학교에서 현장연구에 대하여 명시하고 있는 지침입니다. (출처:대구과학고등학교 학교알리미)
① 학생의 관심과 흥미를 고려하여 분야를 결정하고 주어진 기간에 최적의 연구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② 연구결과는 토론·발표 등을 통하여 대학이나 연구소의 담당교수와 지도교사가 평가하며, 우수한 학생은 담당교수와 지속적인 교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③ 국외현장연구는 여름 방학기간 중 유수의 해외대학 또는 연구소 등에서 특별한 프로그램의 강의, 연구 등을 수행하여 수준 높은 연구와 창의적인 활동을 경험한다. ④ 국외현장연구에 참여할 수 없는 학생은 학교장이 인정하는 국내대학의 프로그램을 통해 대체 연구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
최근 3년간은 코로나로 국제교류가 어려워, 대체연구활동으로 진행되었습니다.
.
영재학교 졸업생은 SKY에 어떤 전형으로 몇명이나 갔을까? (0) | 2022.07.24 |
---|---|
[고등] 경기과학고등학교 : 교내시상 종류 (feat.학교알리미) (0) | 2022.07.10 |
[고입] 2023학년도 영재학교 2차 합격 발표일 (0) | 2022.07.10 |
[고입] 2023학년도 영재학교 2차 응시인원 및 이후 일정 (0) | 2022.07.10 |
[고등/생명] 경암BIO Youth Camp : 등록연장 7월15일까지 (0) | 2022.07.06 |